

포켓몬 정보 (종족값, 개체값, CP, 실제 능력치)
포켓몬에는 게임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보와 확인할 수 없는 정보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요소로는 개체값 (0~15), CP, 기술 정도가 있고, 확인할 수 없는 요소로는 종족값, 포켓몬 레벨, 실제 능력치가 있습니다. 모두 중요한 요인인데 아래에서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종족값
포켓몬 GO에서도 원작 메인 시리즈처럼 포켓몬의 종족값이 존재하는데, 플레이어가 조정할 수 없는 시스템적 부분입니다.
포켓몬 GO의 종족값은 오직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고, 관련 사이트에서 해당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작의 HP, 공격, 방어, 특수공격, 특수방어, 스피드 모두 포켓몬 GO의 종족값에 기여하는데, 포켓몬 GO에서는 원작과 달리 공격, 방어, HP만 존재합니다.
따라서 원작의 스피드는 포켓몬 GO의 종족값에 거의 기여를 하지 않는 반면, 공격 종족값은 원작의 공격 · 특수공격 중 ‘높은 값의 7/8 + 낮은 값의 1/8’으로 반영됩니다.
이에 따라 원작에서 공격 · 특수공격이 균형잡힌 포켓몬은 포켓몬 GO에서 애매한 공격력을 가지게 되고, 극단적인 공격 또는 특수공격을 가진 포켓몬은 포켓몬 GO에서 종족값이 높게 결정됩니다.
개체값 (IV, Individual Values)
박스에서 포켓몬을 선택, 우측 하단의 메뉴를 통해 팀 리더로부터 포켓몬을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평가 받을 수 있는 내용은 개체값 (IV, Individual Values)입니다.
종족값과 마찬가지로 공격, 방어, HP만 존재하는데, 종족값을 포켓몬 종류마다 주어지는 기본 스테이터스라고 치면, IV는 포켓몬 개체마다 다르게 추가적으로 스테이터스라고 보시면 됩니다.
총 0~15가 존재하고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높으면 높을수록 성능 면에서 더욱 좋습니다.
팀 리더의 포켓몬 평가


포켓몬의 개체값을 확인하려면 우측 하단의 메뉴의 ‘포켓몬을 조사한다.’를 선택하면 됩니다. 자신이 선택한 팀 리더가 별의 개수로 해당 포켓몬의 개체값을 평가해주는데, 대략적으로 위의 수치를 따릅니다.
개체값에 따라 박스 검색어 0* ~ 4*가 존재하는데, 4*는 자주 활용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 외에 다른 검색어는 위의 링크에서 확인하여 저장해두면 좋습니다.
포켓몬 입수 방법에 따른 개체값 범위, 100% 확률
입수 방법 | 개체값 범위 | 확률 (IV 100%) |
---|---|---|
야생 포켓몬, 로켓단 (날씨 부스트 X) | 0~15 | 0.02% (1/16^3) |
그림자 포켓몬을 정화 | 0.66% (27/16^3) | |
야생 포켓몬, 로켓단 (날씨 부스트 O) | 4~15 | 0.06% (1/12^3) |
날씨 부스트를 받는 그림자 포켓몬을 정화 | 1.6% (27/12^3) | |
로켓단 보스 (그림자 전설) | 6~15 | 0.1% (1/10^3) |
그림자 레이드 | ||
비주기, 그림자 레이드에서 잡은 그림자 포켓몬을 정화 | 2.7% (27/10^3) | |
레이드, 알 부화, 리서치, 챌린지, GBL 리워드 | 10~15 | 0.46% (1/6^3) |
굳 프렌드 포켓몬 교환 | 1~15 | 0.03% (1/15^3) |
그레이트 프렌드 포켓몬 교환 | 2~15 | 0.04% (1/14^3) |
울트라 프렌드 포켓몬 교환 | 3~15 | 0.05% (1/13^3) |
베스트 프렌드 포켓몬 교환 | 5~15 | 0.08% (1/11^3) |
반짝반짝 포켓몬 | 12~15 | 1.6% (1/4^3) |
포켓몬 교환시 프렌드 등급에 따라 교환한 포켓몬의 개체값이 재조정됩니다. 교환시 개체값은 굳, 그레이트, 울트라, 베스트 프렌드 기준 1, 2, 3, 5를 최저로 삼습니다. 허나 낮은 확률로 반짝반짝 포켓몬이 된다면 개체값은 12~15로 결정됩니다.
개체값이 높은 포켓몬을 잡는 방법
야생 (로켓단 포함)에서 높은 개체값을 가진 포켓몬을 잡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포켓몬 GO에는 0부터 15까지의 IV 범위가 존재하는데, 확률상 100% (또는 0%) 개체값의 포켓몬을 만나려면 1/4096 (약 0.024%)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날씨 부스트 (로켓단 포함)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4~15의 범위 내에서 결정되므로 상황은 좀 더 나아집니다. 이 경우 1/1728 (약 0.058%)의 확률이 적용됩니다.
어쨌든 두 방법 모두 엄청나게 높은 확률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를 좀 더 쉽게 하기 위한 나이언틱의 배려가 존재하는데, 포켓몬 GO에서는 포켓몬을 잡는 특정 방법에 관해서 일부 개체값 보정을 해주고 있습니다.
레이드, 알 부화, 리서치, 챌린지, GBL 리워드
해당 방법들은 모두 IV가 10~15 내에서 결정되므로, IV 100%로 결정될 확률이 1/216 (0.46%)입니다. 야생의 경우인 0.024% 확률보다 무려 19배 가까이 더 높은 수치입니다.
하지만 보상 포켓몬이 랜덤으로 결정되는 알 부화, GBL 리워드와 습득 방법이 제한적인 리서치, 챌린지로 IV 100%의 포켓몬을 노리기는 어렵습니다. 어쩌다 우연히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포켓몬 GO 유저들은 레이드를 통해서 높은 개체값의 원하는 포켓몬을 잡곤 합니다.


다만 레이드 진행을 위해서는 ‘레이드 패스’, ‘프리미엄 배틀 패스 (유료)’ 또는 ‘리모트 레이드 패스 (유료)’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약간의 코인 구매는 필요합니다.
참고로 레이드에서는 날씨 부스트 여부에 따라 포획 난이도가 결정됩니다. 평소에는 20레벨, 날씨 부스트를 받을 때는 25레벨의 포켓몬이 등장하기 때문인데, 황금라즈열매 기준 최종 포획률 2~3%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포켓몬을 놓치기 싫다면 날씨 부스트가 없을 때 레이드를 진행하는 것도 좋은 생각입니다.
반짝반짝 포켓몬 (반짝반짝 교환)


만약 위의 방법이 어렵다면 교환, 반짝반짝 포켓몬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프렌드와 교환을 하면 교환후 개체값이 큰 폭으로 변동되나, 우정 레벨이 높을 수록 그 변동폭이 작아집니다.
베스트 프렌드 기준 5~15에서 결정되므로, 단순히 교환하는 것만으로 야생, 날씨 부스트에서 IV 100% 포켓몬을 잡을 확률보다 약간 더 높습니다.
반짝반짝 포켓몬의 개체값은 12~15에서 결정되므로 포켓몬 GO에서 가장 높은 보정이 들어갑니다. 그러므로 최소 IV는 80% (12/12/12)이고, IV 100%의 포켓몬이 등장할 확률은 1/125 (0.8%)로 다른 확률보다 월등하게 높은 편입니다.
반짝반짝 포켓몬은 프렌드와 교환을 하다보면 낮은 확률로 발생할 수 있고, 또는 낮은 확률로 이뤄지는 반짝반짝 프렌드와의 확정 반짝반작 교환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박스에서 오래된 포켓몬을 교환하면 발생 확률이 높아지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가장 높은 확률! 그림자 레이드
그림자 레이드에서 잡은 포켓몬의 최저 개체값은 6/6/6이고, 레벨은 기존 20 / 25레벨로 같습니다. 최저 개체값 보정 수치는 기존 GO 로켓단 보스 (비주기)와의 배틀 보상으로 얻는 그림자 전설의 포켓몬 수치와 동일합니다.
고로 그림자 레이드에서 개체값 100%의 포켓몬을 잡을 확률은 0.1% (1/10^3)입니다. 이에 따라 정화 100%의 포켓몬을 얻는 난이도도 약간 내려갔습니다.
정화 100%가 나오려면 개체값이 최소 13/13/13이어야 하므로, 2.7% (27/10^3)의 확률로 100% IV의 정화 포켓몬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매우 높은 수치로, 일반 레이드 (개체값 10~15)에서 IV 100%의 포켓몬을 잡을 확률이 약 0.46% (1/6^3)라는 점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일반 레이드보다 무려 6배 가까이 더 높은 수치인 만큼, 그림자 레이드를 진행하는 것이 더욱 높은 개체값의 포켓몬을 잡는데 유리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계산시 26회의 그림자 레이드를 진행하면 정화시 개체값 100%인 그림자 포켓몬을 잡을 확률이 약 50%이 됩니다. 운이 좋으면 더 빨리 얻을 수도 있겠죠?
개체값의 중요성
많은 사람들이 개체값이 중요하다고는 하지만, 개체값은 사실 레이드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극단적인 예시로 공격 0과 15는 DPS 2% 정도의 차이로, 보통 공격 10 이상을 사용한다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무시해도 되는 수치입니다.
개체값이 중요한 이유는 첫째 개인의 만족감, 둘째 트레이너 배틀 (PvP)인데, 대전에서는 대미지 1에 따라 게임의 승패가 바뀌는 만큼 많은 사람들이 신경써서 맞추고 있습니다.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자신, 상대방 모두 스페셜 공격을 동시에 눌렀을 때 공격력의 실제 능력치에 따라 선공권이 결정되는데, 영미권에서는 이를 CMP Tie (Charge Move Priority)라고 합니다.
※ 흔히 CMP Tie를 노린다는 말을 사용하는데, 공격 능력치가 더 높은 것을 이용해 스페셜 공격을 동시에 사용해서 선공권을 가져오면서 노멀 기술을 최대한 사용해 에너지도 최대한 채우는 것을 말합니다.)
특히 CP 제한이 있는 CP 1500, CP 2500 리그에서는 CP에 너무 크게 기여하는 공격 개체값을 낮추고 방어, HP 개체값 및 레벨을 높임으로써 공격 대신 종합적인 실제 능력치를 챙겨주는 것이 좋습니다. 허나 CP 제한이 없는 마스터리그는 공격 15 필수, 방어와 HP는 최대한 높은 포켓몬을 사용합시다.
개체값 올리는 방법?
금뚜껑, 은뚜껑을 사용해서 개체값을 높일 수 있는 메인 시리즈와 다르게, 포켓몬 GO에서 개체값을 올리는 방법은 없습니다.
허나 방법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닌데, 그림자 포켓몬을 정화하면 공격, 방어, HP 개체값이 모두 2씩 상승합니다. 이에 따라 13/13/13 이상의 그림자 포켓몬을 정화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15/15/15와 15/15/14의 실제 능력치가 같은 포켓몬
일부 포켓몬은 15/15/15와 15/15/14의 실제 능력치가 같습니다. 모든 포켓몬은 아니지만, 해당되는 포켓몬은 아래와 같습니다.
![]() ![]() 15/15/15 (100%), 15/15/14 (98%)의 실제 능력치가 같은 포켓몬 | |
---|---|
40레벨 | 리자몽, 피죤투, 푸크린, 뮤츠, 칠색조, 파비코리, 가이오가, 그란돈, 램펄드, 유크시, 아그놈, 디아루가, 아머드 뮤츠, 샤로다, 노보청, 불비달마, 레시라무, 제크로무, 랜드로스 영물, 랜드로스 화신, 개굴닌자, 파이어로, 플라제스, 가라르 불비달마, 짜랑고우거, 전수목, 철화구야, 네크로즈마, 배우르, 자루도, 레지드래고, 레이스포스, 버드렉스 |
41레벨 | 리자몽, 뮤, 블레이범, 스이쿤, 마기라스, 루기아, 세레비, 대짱이, 깜까미, 입치트, 파비코리, 가이고가, 그란돈, 지라치, 덩쿠림보, 에레키블, 유크시, 아그놈, 디아루가, 마나피, 쉐이미 랜드폼, 쉐이미 스카이폼, 테오키스 노말폼, 테오키스 스피드폼, 테오키스 디펜스폼, 테오키스 어택폼, 멜메탈, 비크티니, 샤로다, 레시라무, 제크로무, 랜드로스 화신, 랜드로스 영물, 메로엣타 보이스폼, 메로엣타 스텝폼, 마폭시, 개굴닌자, 파이어로, 플라제스, 멜리시, 디안시, 솔가레오, 루나아라, 텅비드, 악식킹, 네크로즈마, 차곡차곡, 두파팡, 고릴타, 우라오스, 블리자포스, 레이스포스, 버드렉스, 코라이돈, 미라이돈 |
50레벨 | 리자몽, 팬텀, 슬리퍼, 잠만보, 블레이범, 장크로다일, 페리퍼, 씨카이저, 가이오가, 그란돈, 로즈레이드, 토게키스, 맘모꾸리, 디아루가, 몰드류, 샹델라, 삼삼드래, 불카모스, 레시라무, 제크로무, 랜드로스 영물, 랜드로스 화신, 파이어로, 굴레에 빠진 후파, 굴레를 벗어난 후파, 모크나이퍼, 두파팡, 자시안, 자마젠타, 레이스포스, 버드렉스 |
51레벨 | 리자몽, 뮤, 블레이범, 야부엉, 앤테이, 스이쿤, 마기라스, 세레비, 대짱이, 가이오가, 그란돈, 지라치, 거대코뿌리, 덩쿠림보, 디아루가, 셰이미 랜드폼, 셰이미 스카이폼, 레시라무, 제크로무, 랜드로스 영물, 랜드로스 화신, 메로엣타 보이스폼, 메로엣타 스텝폼, 굴레에 빠진 후파, 굴레를 벗어난 후파, 가로막구리, 모크나이퍼, 자시안, 자마젠타, 고릴타, 우라오스, 블리자포스, 레이스포스, 버드렉스, 러브로스, 코라이돈, 미라이돈 |
포켓몬 레벨 (강화)


포켓몬의 레벨은 별의모래와 사탕을 소모하여 강화할 수 있는데, 트레이너 레벨과 마찬가지로 1~50이 존재합니다.
트레이너가 강화할 수 있는 최대 포켓몬 레벨은 ‘현재 트레이너 레벨 +10’로, 강화 1회당 포켓몬 0.5레벨과 약간의 CP가 올라갑니다.
포켓몬을 40레벨 초과하여 강화할 때는 트레이너 31레벨부터 얻을 수 있는 사탕XL을 필요로 합니다. 포켓몬을 강화할 때 CP 하단의 반원 게이지가 올라가지만, 정확한 레벨을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정확한 포켓몬의 레벨은 포케지니, Calcy IV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강화 비용과 성능 효율


포켓몬의 강화 레벨이 높아질수록 소모되는 별의모래 · 사탕 수는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하지만 성능과 그 효율성은 점점 줄어듭니다.
포켓몬이 30레벨일 때 40레벨 성능의 약 92%만큼 낼 수 있고, 30레벨까지의 강화 비용은 40레벨과 비교하면 약 45%입니다. 즉, 30 ~ 40레벨 구간에 드는 강화 비용은 전체 강화 비용의 55%에 해당되나 실제로는 30레벨 대비 8%의 성능 차이를 보여준다는 것입니다.
이는 40레벨에서 50레벨로 넘어가면 더욱 심해지는데, 초보 유저들은 처음부터 40레벨 포켓몬 한두마리 꾸역꾸역 키우는 것보다는, 30레벨의 포켓몬으로 배틀파티를 우선적으로 맞추는 것이 레이드 클리어에 더욱 도움이 됩니다.
CP (Combat Point)
포켓몬 GO에서는 포켓몬의 강력함을 CP (Combat Point)로 표현했습니다. CP는 포켓몬의 자체 종족값, 개체 한 마리의 개체값 (Individual Value, IV), 레벨로 결정됩니다.
앞서 말했듯이 포켓몬의 공격 종족값, 개체값이 높을수록 포켓몬의 최종 CP가 높게 결정됩니다. 하지만 포켓몬의 성능을 결정하는 데에는 해당 포켓몬이 배우는 기술 역시 중요하기 때문에, CP가 높더라도 포켓몬이 꼭 강한 것은 아닙니다. (CP≠DPS)


예를 들어 CP가 높은 게을킹은 종족값과 CP가 매우 높아 이론상 최강의 포켓몬이 될 수 있는 자격은 있으나, 배우는 노멀 기술이 대미지가 없는 ‘하품’이라서 체육관 방어용을 제외하면 사실상 의미가 없는 포켓몬입니다.
CP가 높은 포켓몬을 잡는 방법?
높은 CP의 포켓몬을 잡으려면 일단 높은 레벨의 포켓몬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트레이너는 30레벨을 완성하는 것이 좋은데, 이보다 레벨이 낮으면 야생에서 등장하는 포켓몬의 레벨에 제한 (상한)이 있습니다.
30레벨부터는 최대 30레벨의 포켓몬이 야생에서 등장하고, 해당 제한은 날씨 부스트 하에서는 35레벨까지 증가합니다. 그러므로 35레벨의 포켓몬을 야생에서 잡는다면, 해당 상태에서 진화만 해도 레이드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이렇게 잡은 포켓몬은 개체값이 낮으므로 별의모래를 투자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리하자면 ‘초보 유저가 배틀 파티가 완성되지 않았을 때, 별의모래나 사탕을 소모하지 않고 급하게 대충 레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다.’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포켓몬 GO에는 ‘교환 진화 포켓몬’이라고 프렌드와의 교환시 진화 비용이 없어지는 특별한 포켓몬들이 존재합니다. 괴력몬, 팬텀, 노보청, 대로트 등 유용한 포켓몬이 많으므로 만약 높은 레벨의 포켓몬을 잡았다면 교환을 통해 사탕을 추가로 얻으면서 반짝반짝 또는 진화 비용 삭제를 노려보는 것도 좋습니다.
실제 능력치
위의 요소를 종합해 종족값, 개체값, 강화 레벨로 포켓몬의 공격, 방어, HP 실제 능력치가 결정됩니다. 실제 능력치 역시 게임 내에서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트레이너 배틀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자신과 상대방이 스페셜 공격을 동시에 눌렀을 때, 실제 공격 능력치가 높은 포켓몬에게 우선권 (선공권)이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한 CMP입니다.)


예를 들어 대짱이와 파이어로의 경우 CP 1500, 2500 리그에서 실제 공격 능력치가 비슷하게 결정됩니다. 하이퍼리그에서 50레벨의 파이어로 (15/15/15, CP 2493)의 실제 공격 능력치는 160입니다. (소수점은 버립니다.)
반면 대짱이의 실제 공격 능력치의 경우 0/14/13 기준 156이므로 파이어로에게 후공을 당하므로 대짱이의 실제 공격 능력치를 161로 맞춰 육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이즈 (키, 몸무게)


포켓몬 GO에서 포켓몬의 키는 ‘포켓몬 개체마다 적용되는 랜덤값 * 도감에 등록된 포켓몬의 키’, 몸무게는 ‘포켓몬 개체마다 적용되는 랜덤값 * 키^2 * 도감에 등록된 포켓몬의 몸무게’로 결정됩니다. 그러므로 포켓몬의 키와 몸무게는 서로 상관이 있고 몸무게는 키^2가 적용되기 때문에 변동폭이 키에 비해 훨씬 큽니다.
키와 몸무게는 호바귀, 펌킨인을 제외하고 포켓몬 GO에서 포켓몬의 성능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원작에서 포켓몬의 무게에 따라 대미지가 결정되는 기술 (헤비봄버 등)도 포켓몬 GO에서는 영향이 없습니다.
호바귀, 펌킨인
호바귀와 펌킨인의 경우 키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데 순서대로 작은 사이즈 (XS), 보통 사이즈, 큰 사이즈 (XL), 특대 사이즈 (XXL)입니다.


이들은 유일하게 사이즈가 커질수록 종족값과 CP가 높아지는 특징을 가진 포켓몬으로, 보통 레이드와 트레이너 배틀 모두 특대 사이즈의 펌킨인이 선호됩니다.
XXS, XXL 사이즈


포켓몬을 잡을 때 간혹 ‘크다!’ ‘작다!’ 메시지, 특별한 효과와 함께 크기가 매우 크거나 작은 포켓몬을 만나기도 합니다.
이는 XXL, XXS 사이즈의 포켓몬을 만난 것으로, 같은 포켓몬을 3마리 이상 잡으면 사이즈에 따라 가장 큰, 가장 작은, 가장 무거운, 가장 가벼운 포켓몬이 도감에 기록되기 시작합니다.
XXL, XXS 사이즈의 포켓몬은 사이즈와 마찬가지로 게임에서 아무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가장 크거나 작은 포켓몬을 겨루는 포켓스탑 쇼케이스 컨텐츠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쇼케이스의 보상이 다소 부실한 편이라고 생각되는 만큼 XXL, XXS 사이즈의 포켓몬을 박스에 지닐지, 혹은 박사에게 보낼지는 개인의 선택이라고 봅니다.
포켓몬 사이즈와 관련된 메달


메달 | 낚시꾼 | 반바지 꼬마 |
---|---|---|
거대한 잉어킹을 잡는다. | 작은 꼬렛을 잡는다. | |
몸무게 13.13kg보다 무거운 잉어킹 포획 (발생 확률 약 14.6%) | 몸무게 2.41kg보다 가벼운 꼬렛 포획 (발생 확률 약 11.7%) | |
브론즈 | 3 (낚시꾼캡) | 3 |
실버 | 50 (팬츠, 부츠) | 50 |
골드 | 300 (베스트) | 300 |
플래티넘 | 1,000 | 1,000 |
낚시꾼 메달과 반바지 꼬마 메달 모두 달성 조건으로 몸무게를 요구합니다. 낚시꾼 메달은 브론즈, 실버, 골드 메달에서 낚시꾼캡, 팬츠, 부츠, 베스트 코스튬을 순서대로 지급합니다.
반바지 꼬마 메달은 보상이 없으므로 순전히 수집용인데, 꼬렛 뿐만 아니라 알로라 꼬렛도 수집됩니다. 참고로 해당되는 잉어킹과 꼬렛의 발생 확률은 각각 14.6%, 11.7%입니다.
메달 | 콤팩트 파인더 | 점보 파인더 |
---|---|---|
XXS 포켓몬을 잡는다. | XXL 포켓몬을 잡는다. | |
브론즈 | 5 | 5 |
실버 | 25 | 25 |
골드 | 100 | 100 |
플래티넘 | 500 | 500 |
이 외에 XXS, XXL 포켓몬을 잡는 관련 메달도 있습니다. 허나 해당 메달은 아무 보상이나 영향이 없습니다.
No Comments
답글을 남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