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켓몬 GO 색이 다른 포켓몬
포켓몬 메인 시리즈 게임에는 2세대 GSC부터 색이 다른 포켓몬이라는 개념이 생겼습니다. 일본어로는 色違い (이로치가이)라고 하기 때문에 당시 적절한 한칭이 없던 시기 한국에서도 ‘이로치’라고 불렀고, 이게 정착되어 현재 이로치 포켓몬이라고 부릅니다.
포켓몬 GO에서도 메인 시리즈와 마찬가지인데, 상태창에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맵에 꺼내고 배틀에 내보내면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색이 다른 포켓몬
색이 다른 포켓몬(이로치)은 포켓몬 GO에서 최종 컨텐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입수하기도 어렵고, 특별하고 색이 다르다는 사실만으로도 트레이너들은 이에 열광합니다. 색이 다른 포켓몬을 다른 컨텐츠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은 서양권에서 더욱 강합니다.
이로치 포켓몬의 가치, 장점?








먼저 밝히자면 색이 다른 포켓몬은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개인 만족과 희소성 때문에 수집됩니다. 포켓몬 GO는 메인 시리즈보다 색이 다른 모습의 포켓몬 등장 확률이 높지만,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지 사실 이벤트 보너스 없이 만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로치 포켓몬은 교환 가치가 높은데, 등장 확률이 종류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 확률에 따라 희소성이 결정됩니다.
그 중에서도 개체값이 높은 색이 다른 포켓몬은 최대 레벨까지 강화할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허나 개체값이 낮더라도 요즘은 반짝반짝 교환을 통해 개체값을 높일 기회가 주어지니, IV가 높은 색이 다른 포켓몬도 더욱 접근성이 낮아졌습니다.
색이 다른 포켓몬을 잡는 방법
이로치 포켓몬은 야생에서 잡거나, GO 로켓단과의 배틀, 알 부화, 리서치, GO 배틀리그 보상, 레이드, 그리고 교환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야생에서 색이 다른 포켓몬은 일반 모습이기 때문에, 오직 포획 화면에 들어서야 해당 포켓몬이 색이 다른 포켓몬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 로켓단과의 배틀 후에 잡는 포켓몬도 색이 다른 모습이 나올 수 있습니다. 다만 조무래기가 사용하는 일부 포켓몬 (이전에 로켓단 리더가 사용했던 포켓몬을 조무래기가 사용할 경우), 로켓단 리더 시에라, 알로, 클리프의 포켓몬, 나옹 열기구 이벤트로 등장하는 로사, 로이의 포켓몬만 색이 다른 모습으로 등장할 수 있습니다.
사실상 포켓몬이 등장하는 모든 방법에서 확률적으로 만나볼 수 있는데, 일부 포켓몬은 리서치에서 아예 확정적으로 등장하거나, 또는 아예 색이 다른 모습 자체가 평소 등장하지 않게 설정돼 있는 포켓몬도 있습니다.
평소 색이 다른 모습이 등장하지 않는 포켓몬
루브도, 멜탄, 안농은 특정 이벤트 보너스로만 색이 다른 모습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즉, 평소에는 색이 다른 모습이 등장하지 않고 이벤트 보너스로 포함되는 경우에만 등장한다는 뜻입니다.
또한 스페셜 리서치에서 등장하는 환상의 포켓몬도 색이 다른 모습이 존재하지만 등장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뮤를 잡을 수 있는 ‘환상의 포켓몬을 쫓아라’ 스페셜 리서치를 완료해도 색이 다른 뮤가 등장하지 않지만, 대신 티켓을 구매해야 하는 ‘장기 리서치 151’ 스페셜 리서치의 보상에서는 색이 다른 뮤가 확정적으로 등장합니다.
색이 다른 포켓몬에 대한 오해
야생에서 등장한 포켓몬은 포획 화면으로 넘어오는 첫 순간 이미 그 여부가 결정됐기 때문에, 포획 화면에서 맵을 계속 왔다갔다 하더라도 색이 다른 모습으로 바뀌지 않습니다. 또한 본인에게 이로치라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에겐 아닐 수 있습니다.
다만 예외가 있는데, 포획 화면에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올 때 이로치 확률이 변동되는 이벤트나 보너스가 시작된다면 이로치 여부가 새롭게 결정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 외에 어떠한 행위를 하면 색이 다른 포켓몬이 더 잘 나온다거나 하는 등의 루머는 모두 거짓으로, 색이 다른 포켓몬은 트레이너마다 다르게 결정되며 전적으로 확률에 의존합니다. 그러므로 무조건 많은 포켓몬을 만나고 잡는 것, 즉 파밍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색이 다른 포켓몬의 등장 확률
포켓몬을 잡는 방법에 따라 색이 다른 포켓몬의 등장 확률이 다를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지만, 사실 포켓몬을 잡는 방법은 개체값을 결정할 뿐 색이 다른 모습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합니다. (다만 알에서 이로치 확률이 상승하는 일부 예외가 있긴 합니다.)
하지만 이로치 확률은 포켓몬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색이 다른 피카츄를 잡을 확률은 야생, 알, 레이드, 리서치 어느 쪽으로든 동일합니다. 다만 큰 틀에서 보면 그 확률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겠습니다.
색이 다른 포켓몬의 등장 확률 |
|
대부분의 포켓몬 | 1/500 (0.2%) |
부스트 1단계 (✨ 높음) (딥상어동) |
1/125 (0.8%) |
12월 커뮤니티데이 (부스트 시간대 제외) |
1/100 (1%) |
부스트 2단계 (✨ 매우 높음) (하단 참조) |
1/64 (1.6%) |
이벤트로 보너스를 받는 포켓몬 (GO FEST 등) |
|
알로라 · 가라르 리전폼 | |
아기 포켓몬 | |
얼루기, 루브도, 멜탄 | |
메가 진화가 가능한 포켓몬 (예 : 이상해꽃, 프테라, 이어롭 등) |
|
GO 로켓단 리더의 그림자 포켓몬 (클리프, 시에라, 알로) |
|
1~11월 커뮤니티데이 | 1/25 (4%) |
12월 커뮤니티데이 (부스트 시간대) |
|
전설, 그림자 전설, 환상의 포켓몬 (레이드, 그림자 레이드, GBL 보상 등) |
1/20 (5%) |
레이드 이벤트 (예 : 3시간 진행 레이드 데이) |
1/10 (10%) |
로사 · 로이의 나옹 열기구 (그림자 포켓몬 보상) |
|
한정 리서치 이벤트 |
|
GO 배틀 데이 보너스 아워 | 15% |
몇 년간의 이벤트 경향성을 보면 ‘새로운 이벤트 코스튬 포켓몬이라고 하더라도 특별하게 색이 다른 모습의 등장 확률이 상승하지 않음’을 따릅니다. 단, 해당 이벤트 코스튬 포켓몬이 알, 필드 리서치, 레이드와 같이 매우 한정적인 방법으로만 등장한다면 색이 다른 모습의 등장 확률이 매우 높아지는 예외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어 2023년 봄 이벤트 당시 다양한 벚꽃 장식, 꽃 장식 포켓몬이 등장했는데, 색이 다른 모습의 등장 확률이 상승된 것은 기존의 럭키 뿐이었습니다. (알에서 부화하는 벚꽃 장식 피츄의 경우, 아기 포켓몬이므로 확률 상승 대상일 것으로 추측되고, 럭키의 경우 상시 부스트 2단계에 해당되기에 사실상 의미가 없습니다.)
또한 정확한 확률에 관한 보고는 없지만 2022년 윈터 이벤트 당시 코스튬 글레이시아 3성 레이드에서 많은 사람들이 생각보다 쉽게 색이 다른 글레이시아를 잡았다는 것을 보아, 1.6%의 확률이 적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과거 조사 결과 날씨 부스트의 여부는 색이 다른 포켓몬의 등장 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지난 몇 년간의 데이터 수집 결과 대부분의 포켓몬에게 0.2%의 확률이 적용되어 왔는데, 이는 약 500번 인카운터에서 1번 등장할까 말까한 확률입니다.
반면 평소 만나기 까다로운 포켓몬들의 경우 1.6%의 확률이 적용되었는데, 여기에는 얼루기, 멜탄, 아기 포켓몬 등을 포함합니다. 12월 커뮤니티데이에는 평소 커뮤니티데이보다 낮은 확률인 1%가 적용됐고, 1~11월 커뮤니티데이와 12월 커뮤니티데이 부스트 시간대에는 4%의 확률이 적용되었습니다.
색이 다른 모습의 등장 확률이 높은 포켓몬
- 레이드에서만 등장하는 포켓몬 (암멍이, 냐스퍼, 으랏차, 크리만)
- 리전폼 포켓몬 (알로라 라이츄, 가라르 메더, 히스이 워글 등)
- 아기 포켓몬 (마자, 꼬지지, 흉내내, 핑복, 리오르, 루리리)
- 메가 진화 (앱솔, 이상해꽃, 리자몽, 이어롭 등)
- 로켓단 리더 (클리프, 시에라, 알로)의 그림자 포켓몬
- 리서치 또는 이벤트로만 등장하는 포켓몬 (얼루기, 루브도, 멜탄)
- 기타 (메타몽, 롱스톤, 럭키, 스라크, 피콘, 무장조, 빈티나, 진주몽, 동미러, 맘복치)
메가 진화 포켓몬이라 함은, 메가 진화가 가능한 포켓몬 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리자몽의 경우 1.6% 확률이 적용되지만, 파이리는 0.2%의 확률이 적용됩니다.
프렌드와 색이 다른 포켓몬의 교환
색이 다른 포켓몬도 당연히 다른 사람과 교환을 할 수 있습니다만, 그 비용이 꽤나 비쌉니다. 특히 교환하는 상대방 쪽의 색이 다른 포켓몬 도감에 해당되는 포켓몬이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더욱 비싸지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굳 프렌드 기준 도감 여부에 따라 20,000 또는 1,000,000개, 그레이트 프렌드 기준 16,000 또는 800,000개, 울트라 프렌드 기준 1,600개 또는 80,000개, 베스트 프렌드 기준 800 또는 40,000개가 됩니다. 해당 내용은 교환 관련 이벤트의 보너스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사실 별의모래 4만개도 적은 양이 아니기 때문에, 색이 다른 포켓몬을 교환할 때는 웬만하면 서로 도감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서로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No Comments
답글을 남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