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켓몬 GO 포획률, 도망 확률
평소 야생에서 보기 힘든 포켓몬을 만나거나 레이드를 완료하고 보상 포켓몬을 만났을 때, 어떠한 나무열매를 사용할지 고민한 순간이 있었을 것입니다. 해당 포스팅에서는 포켓몬 GO에서 포획률과 도망 확률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켓몬 포획률
포획률 계산 공식
포획률 = 1-(1-½*기본 포획률/포켓몬 레벨별 값^(볼 종류 보정*열매 보정*타입 메달 보정*던지기 보정*커브볼 보정)
- BCR (Base Catch Rate) : 기본 포획률
- CPM : 레벨에 따른 특정값 (20레벨 : 0.5974, 25레벨 : 0.668)
- M = 볼*열매*메달*던지기*커브볼
포획률 결정 공식
요소 | 설명 |
---|---|
기본 포획률 (BCR) Base Catch Rate | 각 포켓몬마다 가진 고유의 포획률 BCR이 높을 수록 포켓몬을 잡기 쉬워짐 |
포켓몬 레벨 | 포켓몬 레벨이 낮을수록 포켓몬을 잡기 쉬워짐 |
몬스터볼 종류 | 하이퍼볼 > 수퍼볼 > 몬스터볼 (프리미어볼은 몬스터볼과 같은 성능) |
열매 종류 | 황금라즈열매 > 은파인열매 > 라즈열매 |
커브볼 | 커브볼로 포켓몬을 맞출 시 포획률 상승 |
포획원의 크기 (Catching Circle) | 포획원의 크기가 작을수록 포획률이 높아짐 |
타입 메달 | 포켓몬 타입과 맞는 메달 레벨이 높을수록 포켓몬을 잡기 쉬워짐 |
포획원의 색깔은 대략적인 포획 난이도를 뜻하는데, 빨강은 어려움, 주황은 보통, 초록은 쉬움입니다. 레이드에서 사용하는 프리미어볼은 몬스터볼과 같은 성능입니다. 포켓몬 레벨은 포획률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레이드에서 날씨 부스트를 받는 레이드 보스를 잡을 때 더욱 잡기 어려워집니다. (레이드에서는 기본적으로 20레벨, 날씨 부스트가 적용될시 25레벨)
기본 포획률 정보 (CPM)
기본 포획률 | 포켓몬 |
---|---|
0.3% | 가라르 파이어, 가라르 썬더, 가라르 프리져 |
2% | 대부분 전설, 환상의 포켓몬 |
3% | 파이어, 썬더, 프리져 |
5% | 이상해꽃, 리자몽, 거북왕, 망나뇽, 잠만보, 라프라스, 마기라스 등 |
6% | EX 레이드 보스 (현재 불가) |
10% | 괴력몬 등 |
50% | 앱솔 등 |
파이어, 썬더, 프리져를 제외한 전설, 환상의 포켓몬의 기본 포획률은 2%로, 잡기 매우 힘든 편입니다. 이보다 더 어려운 것은 산책 향로에서 등장하는 가라르 파이어, 가라르 썬더, 가라르 프리져로, 포켓몬 GO에서 제일 낮은 0.3%라는 극악의 확률을 갖고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아래의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포획률 보정값
구분 | 보정값 | |
---|---|---|
볼 | 몬스터볼, 프리미어볼 | 1 |
수퍼볼 | 1.5 | |
하이퍼볼 | 2 | |
나무열매 | 라즈열매 | 1.5 |
은파인열매 | 1.8 | |
황금라즈열매 | 2.5 | |
타입 메달 | 동메달 | 1.1 |
은메달 | 1.2 | |
금메달 | 1.3 | |
플래티넘메달 | 1.4 | |
던지기 | Nice | 1~1.3 |
Great | 1.3~1.7 | |
Excellent | 1.7~2 | |
커브볼 | 커브볼 | 1.7 |
레이드에서의 최종 포획률 분석
날씨 부스트 | 기본 포획률 | 은 파인열매 | 황금 라즈열매 |
---|---|---|---|
X (Lv.20) | 2% | 11% | 15% |
3% | 16% | 21% | |
6% | 29% | 38% | |
O (Lv.25) | 2% | 10% | 13% |
3% | 14% | 19% | |
6% | 27% | 35% |
위의 조건 하에 전설 · 환상의 포켓몬의 대부분은 위의 확률을 따르는데, 다소 낮은 편이긴 해도 레이드에서는 남은 프리미어볼의 개수가 적을수록 미지의 포획 보정이 더해지므로 체감되는 포획 확률은 다소 높을 것입니다. 날씨 부스트를 받는 환경에서는 오히려 포획률이 낮아지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레이드에서의 알 수 없는 포획 보정
지금까지 레이드 보스 Get 도전은 야생 포획률과 같은 포획률 계산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해외 사이트 실프로드의 조사 결과 레이드 보스 Get에서만 적용되는 알 수 없는 포획률 보정이 있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불명이나 결과적으로 볼을 많이 던질 수록 포켓몬을 더 쉽게 잡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횟수 | 포획 보정값 |
---|---|
1 | 1.0 |
2 | |
3 | |
4 | 1.25 |
5 | 1.5 |
6 | |
7 | |
8 | |
9~ | 2.0 |
실프로드의 조사 결과는 레이드 보스가 포획되지 않아 볼을 어느 정도 던질 수록 (약 9개 이상), 알 수 없는 포획 보정이 적용된다고 하였습니다. 원래 프리미어볼은 일반 몬스터볼과 같이 1.0의 포획 보정이 적용되나, 대략 9개 정도의 볼을 던지고 난 뒤에는 하이퍼볼 (2.0)과 비슷한 포획 보정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알 수 없는 포획 보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포획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열매, 커브볼, 포획원, 타입 메달 등이 있기 때문에 이 중 어떠한 것이 이를 발생시키는지는 아직 모른다는 뜻입니다. 어쨌든 무지막지한 실험 횟수로 내린 결과가 위와 같으니, 대충 ‘레이드에서는 볼을 많이 던질수록 포켓몬을 잡을 확률이 높아진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포켓몬이 도망갈 확률
포켓몬은 낮은 확률로 도망칠 수 있는데, 도망 확률은 포획률과 달리 포켓몬의 레벨, CP, 나무열매와 관련이 없습니다. 포켓몬의 도망 확률은 어느 것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기본적으로 포켓몬마다 정해져 있는데, 진화 이전의 포켓몬이 진화형보다 도망 확률이 더 높습니다.
도감에서 ‘위험에 처하면 순간이동으로 도망친다.’라고 설명하는 캐이시는 원작에서 기본적으로 배우는 기술이 ‘순간이동’이 유일한데, 포켓몬 GO에서도 이를 반영해 캐이시의 도망 확률은 99%입니다. 즉, 첫 번째 시도에 잡지 못하면 바로 도망칩니다.
3 댓글
답글을 남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