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고치, 노고고치 분석
포켓몬의 정보
노고치의 정보
노고치 | |||||
---|---|---|---|---|---|
![]() ![]() ![]() ![]() | |||||
타입 | |||||
노말 / 약간구름 | |||||
종족값 | |||||
공격 (ATK) | 방어 (DEF) | HP (STA) | |||
131 | 128 | 225 | |||
최대 CP | 40 / 50레벨 | 1689 / 1909 | |||
레벨 범위 | CP 1500 | 32.0 ~ 46.0 | |||
노멀 기술 (Fast moves) | |||||
구르기, 놀래키기, 물기 | |||||
스페셜 기술 (Charge moves) | |||||
드릴라이너, 구멍파기, 스톤샤워 (해방 비용 : 별의모래 50,000, 사탕 50개) |
노고치는 단일 노말 타입으로 23년 11월 기준 아직 진화형이 없는 상태입니다.
포켓몬 GO에서는 공격 종족값이 매우 낮아 최종 CP가 매우 낮게 결정됐는데, 심지어 자속을 못 받는 노말 타입인 덕분에 레이드에서 사용은 불가능합니다.
노고고치의 정보




포켓몬스터 금은에서 등장한 노고치는 24년 만에 결국 9세대 포켓몬스터 스칼렛 바이올렛에서 노고고치로 진화할 수 있게 됐습니다.
노고고치는 노고치와 마찬가지로 노말 타입인데, 마디와 날개, 수염 (?)이 살짝 늘어난 미묘한 형태입니다.
현재 포켓몬 GO에는 노고고치의 데이터가 존재하고, 원작과 마찬가지로 《두마디폼》과 《세마디폼》이 존재합니다. 이미지는 아직 추가되지 않았지만 종족값, 배우는 기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종족값 : 공격 188, 방어 150, HP 268
- 최종 CP : 40레벨 기준 2739, 50레벨 기준 3097
- 배우는 기술 : 노고치와 동일
최종 CP가 높아졌으나 여전히 노말 타입이고, 공격력도 높은 수준이 아니라 레이드에서는 사용하지 못할 전망입니다.
허나 트레이너 배틀에서는 CP가 낮아 슈퍼리그에서만 노고치가 사용됐는데, 하이퍼리그에서는 노고고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만 현재 포켓몬 GO에서는 출시 전 실수, 오류인지 의도적인 것인지 모르지만 노고치에서 노고고치로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포켓몬으로 설정돼 있습니다. (탕구리와 알로라 텅구리와 비슷한 포지션에 있습니다.)
트레이너 배틀
추천 기술
턴수 (횟수) | |
---|---|
구르기 / 드릴라이너 | 16턴 4-3-4-3-… |
구르기 / 스톤샤워 |
노고치와 노고고치 (데이터)의 배우는 기술이 모두 같으므로 구르기와 드릴라이너, 스톤샤워를 고정적으로 사용합니다.
드릴라이너와 스톤샤워 모두 에너지 45를 사용하는 기술인데, 구르기 기준 처음 4회, 다음 3회, 다다음 4회, … 이런 식으로 반복해서 사용됩니다.
에너지 사용량은 같으나 DPE (에너지 사용량 대비 위력)은 드릴라이너가 10만큼 더 높으므로 1배 상대로는 드릴라이너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노고치의 트레이너 배틀 성능


노고치는 CP가 낮기 때문에 오직 슈퍼리그 또는 CP 1500 이하 리그에서 사용될 수 밖에 없습니다. 제한이 없는 슈퍼리그에서는 B+ 티어에 속하는데, 아무래도 사용률 1위인 요가램을 필두로 땅 타입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이 어렵습니다.
노고치의 가장 큰 장점은 기술 조합인데, 에너지가 빠르게 차는 구르기와 에너지를 적게 쓰면서 위력이 높은 편인 드릴라이너, 스톤샤워의 궁합이 매우 좋은 편입니다. 또한 내구력도 어느정도 보장되는 편이라 웬만한 기술은 2번 이상 버틸 수도 있습니다.
허나 달리 말하면 기술이 단조로워 실드 베이팅 (낚시)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말이기도 하고, 자속을 받지 않기 때문에 약점을 공략할 수 있는 포켓몬이 상대가 아니라면 승리를 장담할 수 없습니다. 또한 상대가 누르기를 사용하는 여타 노말 타입 포켓몬에게 밀릴 수 있습니다.
대신 레트로컵, 섬머컵, 홀리데이컵 등 일부 CP 1500 이하 리그에서 모두 A+ 티어 정도로, 나쁘지 않게 애용되는 편입니다. 1마리 정도는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노고고치




아직 구현은 안됐지만, PvPoke의 시뮬레이터를 통해 대충 성능이 어떨지 짐작할 수 있습니다.
각각 실드 0회 (자신 0 / 상대 0) 기준 471점, 실드 1회 (1/1) 기준 452점으로 보통 500점 언저리를 ‘우수한 포켓몬’이라고 평가하기 때문에, 아주 나쁘지는 않은 편입니다.
하이퍼리그에서는 고스트 타입 (탱탱겔, 기라티나, 대로트)나 강철 타입 (알로라 고지, 강철톤, 가라르 메더), 그 외에 바위 타입에 약점을 찔리는 포켓몬 (리자몽, 갑주무사, 버랜지나, 알로라 나인테일, 피죤투) 등이 많습니다. 이대로 출시된다면 생각보다 괜찮은 활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3 댓글
답글을 남기세요.